JavaScript
-
[TIL] 2020-04-06Trainings/이전 TIL 기록 2020. 4. 6. 23:43
[ groomedu ] - 웹 표준 사이트 만들기(2019) 26강 로그인 폼 만들기까지 수강 [ 노마드코더 ] -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#2.3 Modifying the DOM with JS #2.7 DOM - If else - Function practice part Two까지 재수강 - ReactJS로 웹 서비스 만들기 #3.1 All you need to know about State #3.2 Component Life Cycle까지 재수강
-
[level1] -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programmers/level1 2020. 4. 3. 23:31
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[ 풀이 ] arr divisor return [5,9,7,10] 5 [5,10] [2,36,1,3] 1 [1,2,3,36] [3,2,6] 10 [-1] 입출력 예#1 arr의 원소 중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는 5와 10입니다. 따라서 [5, 10]을 리턴합니다. 입출력 예#2 arr의 모든 원소는 1로 나누어 떨어집니다. 원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[1, 2, 3, 36]을 리턴합니다. 입출력 예#3 3, 2, 6은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.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가 없으므로 [-1]을 리턴합니다..
-
[TIL] 2020-03-27Trainings/이전 TIL 기록 2020. 3. 27. 23:49
[ groomedu ] - 웹 표준 사이트 만들기(2019) 14강 전체 메뉴까지 수강 [ 노마드 코더 ] - ReactJS로 웹 서비스 만들기 #2. 2 Dynamic Component Generation까지 수강 [ 배운 내용 ]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 1. img 태그로 표현(의미가 있을 때) src속성, alt속성 2. background 속성으로 표현(의미가 없을 때) - 대체 문자 X 3. 이미지를 background 속성 - 웹 표준 준수하기 위해서 가상으로 대체 문자를 만들어 줘야함(IR 효과), 이미지 스프라이트 효과 /* IR 효과 */ /* 의미있는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경우 */ .ir_pm { display: block; overflow: hidden; font-size..
-
[TIL] 2020-03-26Trainings/이전 TIL 기록 2020. 3. 26. 23:52
[ groomedu ] - 웹 표준 사이트 만들기(2019) 헤더 타이틀 & 웹 폰트까지 수강 [ programmers ] - 자바스크립트로 level 1인 k번째 수 문제 풀이 [ 배운 내용 ] - 구글 웹 폰트 가져오는 방법을 배움 - Array.slice(start, [end]) : 자바스크립트의 Array 객체에서 slice() 함수는 배열 요소에서 지정한 값(시작점, 종료점)을 가져오고 싶을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. var a = [1, 2, 3, 4, 5]; a.slice(0, 3); // [1, 2, 3]을 반환한다. a.slice(3); // [4, 5]를 반환한다. a.slice(1, -1); // [2, 3, 4]를 반환한다. a.slice(-3, -2) // [3]을 반환한다. - Ar..
-
[TIL] 2020-03-23Trainings/이전 TIL 기록 2020. 3. 23. 23:48
[ groomdue ] 웹 표준 사이트 만들기(2019) 레이아웃 07강까지 수강 1분 코딩 - 자바스크립트 Part2 강좌 수강 [ 배운 내용 ] [ HTML ] - 기존에 사용하는 홈페이지를 마크업 하는 과정을 따라서 코딩함. [ JavaScript ] var, let, const var는 ES2015(ES6) 이전부터 사용되었고, let과 const는 ES6에서 등장했다. var - 함수 스코프를 사용하며 재할당, 재선언 모두 가능하다. var testVar = 1; console.log(testVar); // 1 testVar = 2; console.log(testVar); // 2 var testVar = '1'; console.log(testVar); // '1' - undefiend로 초기화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