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론트엔드
-
자바스크립트 - 배열JavaScript/기본 2020. 2. 25. 00:27
오늘은 배열에 대해서 정리해보자! 배열(array)이란?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서 통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이다. 변수가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면 배열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그렇다면 배열은 어떻게 생성할까?? 변수 member에 회원정보를 담아보자. 대괄호([])는 배열을 만드는 기호다. 대괄호 안에 데이터를 콤마(,)로 구분해서 나열하면 배열이 된다. var member = ['Kim', 'Lee', 'Lim'] 하나의 변수에 3개의 데이터를 담았다. 각각의 데이터를 원소(Element)이라고 부른다. 자 그럼 이 데이터를 꺼내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 var member = ['Kim', 'Lee', 'Lim'] ale..
-
자바스크립트 - 함수JavaScript/기본 2020. 2. 24. 22:07
오늘은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! 함수란? function 하나의 로직을 재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. 그렇다면 함수의 정의와 호출을 어떻게 할까? 함수는 function 뒤에 함수의 이름이 오고, 소괄호가 따라온다. 소괄호에 인자하는 값이 차례로 들어오는데 이 값은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의 로직으로 전달될 변수이다. 또, 인자는 생략할 수 있고, 함수를 호출했을 때 실행하게 될 부분이 중괄호 안쪽에 온다. function fun(){ // 함수 정의 i = 0; while(i < 10){ document.write(i); i += 1; } } fun(); // fun이라는 이름의 함수가 호출 함수는 입력과 출력을 어떻게 할까? 바로 return과 인자를 통해서 할 수 있다...
-
자바스크립트 - 반복문JavaScript/기본 2020. 2. 24. 17:15
들어가기에 앞서, 인간은 반복적인 작업을 잘하지 못한다. 실수하고, 지루해한다. 컴퓨터는 이런 반복적인 작업을 대행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기계다. 반복문은 컴퓨터에게 반복적인 작업을 지시하는 방법이다. 반복문의 문법은 몇 가지가 존재한다. 그것은 바로, while문과 for문이다. while문에 대해서 알아보자. 형식은 아래와 같다. while (조건){ // 반복해서 실행할 코드 } while문은 while문 뒤에 따라오는 괄호 안의 조건이 참(true) 면 중괄호 안의 코드 구간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. 조건이 false면 반복문이 실행되지 않는다. 여기서 true와 false는 종료조건이 되는데, 이 값을 변경하는 것을 통해서 반복문을 종료시킬 수 있다. 단, 반복문에서 종료조건을 잘못 지정하면 무한반..
-
자바스크립트 - 조건문JavaScript/기본 2020. 2. 24. 15:50
조건문의 문법을 알아보도록 하자! 조건문이란? 주어진 조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다르게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. if 조건문은 if로 시작한다. if 뒤의 괄호에 조건이 오고, 조건이 될 수 있는 값은 Boolean이다. Boolean의 값이 true라면 조건이 담긴 괄호 다음의 중괄호 구문이 실행된다. if(true){ alert('결과 : true'); } 조건이 참이면, 경고창이 뜨고 if(false){ alert('결과 : false'); } 조건이 거짓이면, 경고창이 뜨지 않을 것 이다. else if만으로는 좀 더 복잡한 상황을 처리하는데 부족하다. if(true){ alert(1); } else { alert(2); } 조건이 참이기 때문에, if의 중괄호 구간이 실행되고 1이라는 경..
-
HTML - <a>태그와 속성HTML/HTML 2020. 2. 24. 00:27
오늘은 속성이라는 문법과 링크라는 HTML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기능을 알아보겠다. 태그는 링크를 걸고자 하는 즉, ~ 사이에 내용이 링크라는 사실을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태그이다. 하지만, a 태그만 쓴다고 해서 링크가 생기지는 않는다. 네이버로 이동 만약, 네이버가 링크라고 한다면? 이 링크가 어떤 웹 페이지에 연결되어야 되는지에 대한 바로 그 웹 페이지의 URL이 어딘가에 적혀 있어야 한다. 그 정보가 없기 때문에 브라우저는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는 것이다. 그럴 때, href 이라는 속성을 이용하면 링크를 걸 수 있다. 네이버 이렇게 입력하면, 이제야 링크가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. 이 링크를 클릭하면, 해당 홈페이지로 접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그런데, 만약 해당 홈페이지에서 접속하지..
-
자바스크립트 - 비교JavaScript/기본 2020. 2. 20. 23:32
오늘은 자바스크립트의 비교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. 자! 여기서 연산자란? → 값에 대해서 어떤 작업을 컴퓨터에게 지시하기 위한 기호이다. 우리는 이전에 이미 연산자를 사용했다. 그것은 바로 a에 1을 넣게 해주는 대입 연산자이다. a = 1 // 대입 연산자 1 = 2 // 1에 2를 대입할 수 없기 때문에, 이러한 경우를 상수라 한다. 그러면 프로그래밍에서 비교란 무엇인가? → 주어진 값들이 같은지, 다른지, 큰지, 작은지를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. 이때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는데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true / false 중 하나이다. true는 비교 결과가 참이라는 것을 뜻하고. false는 거짓을 의미한다. 또, true와 false는 boolean이라는 데이터 형식을 지니고 있다. 그..
-
자바스크립트 - 변수JavaScript/기본 2020. 2. 20. 21:38
오늘은 변수와 간단한 문법에 대해 알아보자! 변수란 무엇인가? → 변수(Variable)는 (문자 혹은 숫자 같은) 값을 담는 컨테이너로 값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. 그리고 여기에 담긴 값은 다른 값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. 그렇다면 선언은 어떻게 할 것인가?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는 var로 시작한다. → 여기서 var는 변수를 선언하겠다는 것을 의미! var를 생략 할수도 있지만 이것은 유효 범위라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. 변수의 이름은 $, _, 혹은 특수 문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로 시작할 수 있다. var a = 1; alert(a+1); //결과: 2 변수 a에 1이 담겨지고, 1일 담긴 a와 숫자 1을 더해 경고창에 2라는 값이 출력된다. 여기서 혹시 모르니, //(주석)과 ;(세미콜..
-
자바스크립트 - 숫자와 문자JavaScript/기본 2020. 2. 19. 23:43
오늘은 숫자의 표현과 문자의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.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 때, 우리는 가장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알아야 한다. 데이터라는 것은 정보이고, 그 정보는 프로그래밍에서 그 정보가 무엇인가에 따라서 타입이 존재한다. 예를 들면, 숫자의 타입, 문자의 타입 등등 아마, 숫자와 문자가 젤 익숙할 것이다. 첫 번째로 숫자!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큰따옴표(")나 작은따옴표(')가 붙지 않은 숫자는 숫자로 인식한다. alert(1+1); // 결과: 2 alert(1.2 + 1.3); // 결과: 2.5 곱하기를 할 때는 *(에스터리스크, Asterisk, 키보드 자판 상으로 숫자 8)를 사용한다. alert(2 * 5); 나누기를 할 때는 /(슬래쉬, slash, 키보드 자판 상으로 오른쪽 shi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