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TIL] 2020-03-01
[노마드 코더]
바닐라 자바스크립트 #3.8 Image Background까지 수강
[배운 문법]
event.target | 이벤트가 발생시, 이벤트가 발생하는 해당 객체를 반환 |
filter() |
배열 원소들을 반복하면서 조건(함수)에 true면 원소를 남기고 false면 없애버린다. 이것도 새로운 배열이 탄생한다. 배열 값들 중에 의미 없는 값들을 버릴 때 사용한다. 그냥 필터 건다고 생각면 편하다. |
parentNode() |
부모 노드를 찾을 때는 parentNode 속성을 사용한다. 자식 노드는 여러 개일 수 있기 때문에 children이나 childNodes 같은 복수형 단어를 썼다면 부모는 항상 한 명이기 때문에 단수형 parentNode이다. |
new Image()
|
그림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Image 객체이다. src은 이미지 객체 파일의 URL 주소를 알려준다. 이미지객체변수 = new Image(); ImgObj = new Image(); ImgObj.src = "그림파일 이름"; |
prepend()
|
콘텐츠를 선택한 요소 내부의 시작 부분에서 삽입한다. 예시) const image = new Image(); image.src = `images/${imgNumber + 1}.jpg`; body.prepend(image); 이렇게 되면, <body> 태그 내부에 prepend()를 이용해서 image를 삽입. |
Math |
Math 객체는 수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상수와 함수들을 미리 구현해 놓은 자바스크립트 표준 내장 객체입니다. |
[Math 객체의 종류]
Math.min() |
인수로 전달받은 값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반환합니다. 인수가 전달되지 않으면 Infinity를 반환하며, 인수 중에 비교할 수 없는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NaN을 반환합니다. Math.min(); // Infinity Math.min(1, 10, -100, -10, 1000, 0); // -100 Math.min(1, 10, -100, -10, "-1000", 0); // -1000 Math.min(1, 10, -100, -10, "문자열", 0); // NaN |
Math.max() |
인수로 전달받은 값 중에서 가장 큰 수를 반환합니다. 인수가 전달되지 않으면 -Infinity를 반환하며, 인수 중에 비교할 수 없는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NaN을 반환합니다. Math.max(); // -Infinity Math.max(1, 10, -100, -10, 100, 0); // 100 Math.max(1, 10, -100, -10, "1000", 0); // 1000 Math.max(1, 10, -100, -10, "문자열", 0); // NaN |
Math.random() |
메소드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은 무작위 숫자(random number)를 반환합니다. |
Math.round() |
인수로 전달받은 값을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그 결괏값을 반환합니다. Math.round(10.49); // 10 Math.round(10.5); // 11 Math.round(-10.5); // -10 Math.round(-10.51); // -11 |
Math.floor() |
인수로 전달받은 값과 같거나 작은 수 중에서 가장 큰 정수를 반환합니다. Math.floor(10.95); // 10 Math.floor(11.01); // 11 Math.floor(-10.95); // -11 Math.floor(-11.01); // -12 |
Math.ceil() |
인수로 전달받은 값과 같거나 큰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정수를 반환합니다. Math.ceil(10.95); // 11 Math.ceil(11.01); // 12 Math.ceil(11); // 11 Math.ceil(-10.95); // -10 Math.ceil(-11.01); // -11 |